나만 모르는 조회 수의 비결
최근 건축가이자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는 유현준 교수는 제목을 바꾸고 난 후 조회수가 달라졌다는 말을 했다.
1. 건축계 노벨상, 일본은 되고 한국은 안된다고? 프리츠커상 이제는 집착을 버려라! (12만 회)
2. 한국 건축, 서양처럼 보존되지 못하고 재건축하는 이유는? 도시 재건축 VS 보존 문제 (28만 회)
3. 대한민국 학교, 바꾸려면 지금입니다. 코로나 시대에 교육 혁명을 시작해야 하는 이유! (12만 회)
4. 천재로 유명한 건축가 가우디, 진짜 천재일까? (35만 회)
1번과 2번이, 3번과 4번이 같은 시기에 올라온 영상이다. 조회 수는 10만 회 이상 차이가 난다. 이 이유를 여러분은 아시겠는가? 나는 모르겠다. 난 진짜 모르겠다고~~!!!! (절규)
모르면 배우면 되지 뭐......(쩝)
끌리는 글과 제목이 중요한 이유
2021년 작년 한 해에만 144명, 20팀의 아이돌이 데뷔했다고 한다. 이중 대중들에게 기억되는 팀은 기껏해야 1~2팀이다. 영상과 글 등 콘텐츠도 아이돌과 비슷한 사정이다. 1인 미디어가 가능해지면서 발행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제아무리 양질의 글을 써도 보는 사람이 없으면 콘텐츠는 사장된다. 하여 내용이 좋은 글과 영상은 기본 값이고, 사람들이 클릭할 수 있는 제목을 만들어야 한다.
블로그, 유튜브, SNS에서 살아남기
글을 좋아하는 사람들 중에는 문학적인 글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그렇지만 블로그와 유튜브에서 통용되는 글은 정반대다. 아름다운 문장과 기승전결이 있는 구조는 냉혹한 플랫폼 세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무조건 실전 위주여야 한다.
이 책 <100만 클릭을 부르는 글쓰기>는 전문 기자만 10년, 네이버 여행+ 주제판 콘텐츠 팀장 3년을 한 글쓰기 배테랑이자 네이버 블로그 베테랑인 신익수 님의 책이다. 보통 책이라는 형식을 갖추면 기승전결에 따라 내용을 진행하다 보니 별로 알고 싶지 않고 상관없는 이야기도 많이 실려있다. 하지만 이 책은 다르다. 바로 적용 가능한 알짜배기들이 담겨있다. 본문 쓰는 비결과 제목을 구성하는 비결 일부를 소개한다.
<본문 글쓰기 쇼트(SHORT)의 법칙>
1. 짧게 끊어서 써라
2. 리듬을 타라 + 반복 금지
3. 파레토 법칙! 재미와 정보의 황금 비율 2:8
<밀리언 클릭을 부르는 문장 10 형식>
*1 형식 = 리스티클: 리스트+아티클
[무조건 알아둬야 할 재테크 5 공식] 같이 순번을 정해서 나열하는 글을 말한다.
*2 형식 = 네가티클: 네거티브+아티클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5가지] 같이 하지 말라는 것에 더 끌리는 심리를 자극하는 글
*3 형식 = 워너클: 원하는 것+아티클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잠재 니즈를 자극하는 글
*4 형식 = 에어클: 에어플레인+아티클
여행이나 비행기와 관련된 글
*5 형식 = 스타클: 스타+아티클
연예인, 인플루언서, 유명 스타와 관련된 글
*6 형식 = 미라클: 미라클+아티클
[기네스북에 실린 000] 같은 믿기지 않는 이야기와 관련된 글
*7 형식 = 타임리클: 시의성+아티클
10 형식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이다. 사회적으로 관심이 폭발하는 키워드를 품은 글
*8 형식 = 휴머니클: 휴머니즘+아티클
감동이 있는 글
*9 형식 = 이코노미클: 이코노미+아티클
경제와 관련된 글. 돈 얘기는 언제나 핫하다.
*10 형식 = 크레디클: 크레딧+아티클
신뢰가 가는 매체나 미디어를 인용해서 만든 글
실용성을 강조하는 저자답게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내용들로 가득하다. 블로그나 유튜브, 업무적으로 운영하는 채널이 있으면 굉장히 유용하고, 그 외에도 메일 제목을 간결하게 쓰거나, 글을 쓸 때 핵심만 간결하게 담기 좋은 방식을 소개한다. SNS를 본격적으로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한 번쯤 읽어야 할 책이다.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퀴즈 김영하 작가, 소설 말고 직접 읽은 에세이 추천 (0) | 2022.05.22 |
---|---|
마음이 메말랐을 때 책 추천 <불편한 편의점> 김호연 (0) | 2022.05.21 |
유퀴즈 김영하 작가 소설들 9년만의 신작 알려드림 (0) | 2022.05.20 |
브랜드 마케팅은 이렇게 하세요 - <행복을 파는 브랜드, 오롤리데이> (0) | 2022.05.16 |
일본 헤이안 시대 1018~ 주요사건 (0) | 2022.05.15 |
댓글